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 ChatGPT ] mmap() 사용 빈도에 대한 질문

질문 내용

장시간동안 일정 영역의 주소를 랜덤하게 접근해서 사용하는데, 이때 큰 주소를 한번에 mmap()으로 잡는게 효과적이야, 아니면 사용할 때마다 mmap()을 이용하는게 더 효과적이야?


답변 내용

장시간 동안 일정 영역의 주소를 랜덤하게 접근하는 작업에서는 다음 두 가지 접근 방식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 고려해야 합니다.

  1. 큰 주소 영역을 한 번에 mmap()으로 잡는 방법
  2. 사용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 mmap()을 이용하는 방법

1. 큰 주소 영역을 한 번에 mmap()으로 잡는 방법

이 방식에서는 한 번의 mmap() 호출로 큰 메모리 영역을 매핑하고, 이후 이 매핑된 영역을 필요할 때마다 사용합니다.

장점

  • 성능 이점: mmap() 호출은 시스템 호출이기 때문에, 매번 호출하는 것은 오버헤드가 있습니다. 큰 영역을 한 번에 매핑하면, 매번 매핑을 요청하는 오버헤드를 피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폴트 최소화: 큰 영역을 매핑하면 메모리 접근 시 더 많은 페이지가 이미 메모리에 로드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페이지 폴트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연속된 메모리 사용: 연속된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면, 캐시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단점

  • 메모리 낭비: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 영역까지 미리 매핑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낭비될 수 있습니다.
  • 주소 공간 부족: 특히 32비트 시스템에서 큰 영역을 매핑하면 가용한 주소 공간이 빠르게 소진될 수 있습니다.

2. 사용할 때마다 mmap()을 이용하는 방법

이 방식에서는 매번 필요한 만큼만 메모리를 매핑하고, 필요하지 않으면 매핑을 해제합니다.

장점

  • 메모리 효율성: 필요할 때만 메모리를 매핑하므로, 메모리 낭비가 줄어듭니다.
  • 유연성: 필요한 만큼만 메모리를 매핑하고 해제할 수 있어, 메모리 관리가 보다 유연합니다.

단점

  • 성능 오버헤드: 매번 mmap()munmap()을 호출하는 오버헤드가 발생하며, 이는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폴트 빈도 증가: 매번 새로운 영역을 매핑할 때마다 페이지 폴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결론

랜덤하게 메모리를 접근하는 작업에서는 일반적으로 큰 주소 영역을 한 번에 mmap()으로 잡는 방법이 더 효율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자주 메모리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 매번 mmap()을 호출하는 오버헤드와 페이지 폴트 빈도 증가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스템 메모리가 제한적이거나, 메모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때마다 mmap()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메모리 사용 패턴, 시스템 리소스, 성능 요구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오버 헤드의 원인은?

mmap()을 매번 호출할 때 발생하는 "오버헤드"란, 각 호출 시 시스템에 추가적인 부담이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의 비용을 포함합니다.

1. 시스템 호출 오버헤드

mmap()은 시스템 호출(syscall)입니다. 사용자 모드(user mode)에서 커널 모드(kernel mode)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과정은 CPU 사이클을 소모합니다. 시스템 호출을 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단계가 포함됩니다:

  • 컨텍스트 스위칭: mmap()을 호출하면, 프로세스는 사용자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전환됩니다. 이 과정에서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이 발생하며, 이는 시간과 리소스를 필요로 합니다.
  • 권한 검사 및 매핑 처리: 커널은 요청된 메모리 영역의 매핑을 처리하면서 권한을 검사하고, 메모리 페이지 테이블을 수정합니다. 이 작업은 추가적인 CPU 자원을 소모합니다.

이러한 과정들이 쌓이면, 많은 횟수의 mmap() 호출이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페이지 폴트(Page Fault) 비용

mmap()으로 메모리를 매핑할 때, 실제 메모리 페이지는 매핑 요청이 발생한 시점에 바로 할당되지 않고, 이후 메모리에 접근할 때 실제 물리 메모리 페이지가 할당되면서 페이지 폴트가 발생합니다.

  • 초기화 비용: 매핑된 메모리 영역에 처음 접근할 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해당 메모리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로드되거나 초기화됩니다. 이런 페이지 폴트는 처리하는 데 시간이 걸리며, 자주 발생할 경우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3. 메모리 관리 오버헤드

매번 새로운 메모리 영역을 매핑하고 해제하면,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자가 빈번하게 메모리 할당 및 해제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프래그멘테이션(Fragmentation): 자주 매핑과 해제가 반복되면, 메모리 공간이 단편화되어 새로운 메모리 요청을 할 때 연속된 큰 메모리 블록을 찾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매핑 테이블 관리: 커널은 프로세스의 메모리 매핑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테이블을 유지해야 합니다. 매핑과 해제가 빈번하면, 이 테이블의 관리 비용도 증가합니다.

결론

매번 mmap()을 호출할 때마다 이러한 오버헤드가 발생하기 때문에,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러한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큰 메모리 영역을 한 번에 매핑하고 이를 재사용하는 방식이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리눅스에서 메모리 매핑과 관련된 시스템 호출 방법으로 레지스터맵이나 BRAM 등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이다. Device Driver로 대체될 수도 있으나 잦은 수정이나 디버깅이 필요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파트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고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QT] 5.15.2 버전 다운로드와 설치하기

1. 버전 5.15.2를 설치하기 위해 QT 다운로드 사이트 에 접속하였으나 실행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최신의 실행파일은 ver5.14.2 이므로 일단 이것을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 참고 사이트 - https://sloth-code.tistory.com/6#comment16833678 ) 다운 사이트  - https://bio.nic.funet.fi/pub/mirrors/download.qt-project.org/archive/qt/5.14/5.14.2/  ------------- 버전이 맞지 않으니 재 설치한다. 2.  5.15.2 버전에는 실행파일 exe가 없고 zip과 tar.gz 파일만 존재한다. ( https://bio.nic.funet.fi/pub/mirrors/download.qt-project.org/archive/qt/5.15/5.15.2/ ) OFFLINE_README.txt를 읽어보면 5.15 버전부터는 오픈 소스 오프라인 설치를 이용할 수 없다고 한다. 오프라인 설치를 원할 경우 다음 사이트 참조하라고 한다.  ( 원본:  The Qt Company offering changes, open source offline installers are not available any more since Qt 5.15. Read more about offering changes in the https://www.qt.io/blog/qt-offering-changes-2020 blog. If you need offline installers, please consider our new Qt for Small Business offering: https://www.qt.io/blog/available-now-qt-for-small-businesses ) - https://www.qt.io/blog/available-now-qt-for-small-businesses ...

C# dll 파일들을 지정 폴더에서 사용하기

C#으로 여러 프로세스를 생성할 때, 각각의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dll을 공동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dll은 실행 파일과 같은 폴더내에 존재해야 실행할 수 있다. 같은 dll을 사용하고 관리하는 관점에서 복사하는 일은 효율성이 떨어지며 항상 버전에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비효율성을 제거하고자 실행파일과 다른 폴더에 있는 dll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가장 편리하고 단순하겠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서브 폴더를 이용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dll이 필요할 때 발생되는 이벤트 핸들러를 추가하고 이를 등록하여 지정된 폴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추가하여 해결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17&MAEULNo=8&no=169705&ref=169702 * dll 필요할 때 발생되는 이벤트 핸들러 추가 static   System.Reflection.Assembly RsveAssem( object   sender, ResolveEventArgs args) {      System.Reflection.Assembly thisAss = System.Reflection.Assembly.GetExecutingAssembly();      var name = args.Name.Substring(0, args.Name.IndexOf( ',' )) +  ".dll" ;             if ( name ==  "abc.dll"   )      {    ...

[MongoDB] C# 으로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몽고DB 접근할 때 발생하는 에러

1.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 해당 기능을 수행할 때 작업 PC에서 발생하지 않는 메시지가 사용자 PC에서 발생하여 해결하기 위해 정리한다. - .Net Framework 4.6.1 에러 메시지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파일이나 어셈블리 'System.Runtime.InteropServices.RuntimeInformation, Version=4.0.1.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파일 이름: 'System.Runtime.InteropServices.RuntimeInformation, Version=4.0.1.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위치: MongoDB.Driver.Core.Connections.ClientDocumentHelper.CreateOSDocument()    위치: System.Lazy`1.CreateValue()    위치: System.Lazy`1.LazyInitValue()    위치: MongoDB.Driver.Core.Connections.ClientDocumentHelper.CreateClientDocument(String applicationName)    위치: MongoDB.Driver.Core.Connections.ConnectionInitializer..ctor(String applicationName, IReadO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