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업무 기록] 오픈 소스 분석 #1

 오픈 소스를 분석 하다보니 그 동안 사용했던 기술 영역 밖의 내용들이 종종 보인다. 그것들을 필요할 때 다시 기억하기 위해 기록하고자 한다. 내가 모르는 내용은 끝이 없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환경에 감사하자.  - boost libraray  - pcap_open() / pcap_compile() / pcap_next_ex() - Open MPI  ( Message Passing Interface )    -->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여러 프로세스를 띄우고 각 프로세스에서 할당받은 메모리를 공유하지 못한다, 당연하지. 서로 다른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러한 구조를 지원하기 위한 라이브러리가 MPI라고 한다. 프로세스 통신 IPC를 이용하면 될텐데... 이 라이브러리는 왜 필요한가?    --> 병렬 프로그램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본다. 링크참조 IPC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각 프로세스 운영에 있어 독립적이며 데이터 공유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고, MPI는 분산 시스템 환경에 노출시키는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병렬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이다.    -->  참고 문서  응용 - curl  : 웹 개발에 매우 많이 사용되는 있는 오픈 소스로서 수 많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다.    --> 위치백과 인용 [ cURL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와 명령 줄 도구를 제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이다. 이 cURL 프로젝트는 libcurl와 cURL이라는 2개의 제품을 만든다. 1997년에 처음 출시되었다. 이 이름은 "client URL"을 대표한다. ]   --> 공식사이트   --> 깃허브

[NEW-JOB] 시작하기

 업종의 변환이란,, 하던 일과 사람과 환경이 달라지는 것, 가장 크게는 소속된 업황이 달라지는 것. 업의 변환이 시작된지 3주가 지났다. ( 게다가 이글을 완성하지 못하고 한달이 지났다. ) 생생한 지금까지의 느낌을 적어보려고 한다. 1. 빌드 환경의 변화 - 운영 OS는 윈도우와 리눅스를 사용하고 각 OS에 따라 빌드 환경은 정해져 있었다. 지금은? 오픈 소스를 이용하게 되는 현업의 빌드 환경은 멀티 플랫폼에서 개발가능하고 멀티 플랫폼에서 사용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오픈 소스를 사용하는 이상 이러한 환경은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멀티 플랫폼이 가능한 소스 구성은 현재 소프트웨어 산업계의 흐름이기도 하다. 결국 언젠가는 가야 하는 것이다.  2. 업무 환경의 변화 - 5년 신건물에서 10년 구건물로 이전하였으니 화장실은 대만 화장실 냄새가 난다. 습한 기운이 엄습해있다. 사무실은 한달후 청소하여 자리를 잡았으나 여기 또한 습하고 공기 순환되지 않아 9월 28일 현재 선풍기를 돌리는 중이다. - 랩실은 없고, 컴퓨터만 있고. - 오픈 소스분석으로 인해 나의 영역 밖에 있던 기술들을 하나씩 학습하고 있으며 기회와 지루함이 공존한다.  3. 소속된 조직의 변화 - 10여명의 단촐한 인력을 탈피하고 타 회사 직원들과 3주째 같이 일하고 있는 더 단촐하게 일하고 있다. 협업하는 인력은 20킬로 이상의 다른 동네에 있고, 라인이 포함된 신규 건물에 한달내에 이사하게 된다. ( 타 회사 직원들은 이사를 갔고, 내 조직의 인원들로 대체되었다. )  - 회사를 운영하는데에 있어 필요한 인력이 있는데 그들은 지금 흩어져 있거나 모집중이다. 또한 여러 조직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4. 내가 속한 산업의 변화 - 반도체와 디바이스에서 자동차 센서와 자율 주행으로 업종이 변화되었다. 센서와 인지, 모터 제어 등은 전전 산업에서도 종종 사용하던 분야였지만 그때와는 많은 것이 변화되었고 전 산업의 기술과 접목되었다고 볼 수 있...